테니스엘보/외상과염/Tennis Elbow
1️⃣정의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입니다. 팔꿈치 관절과 팔에 무리한 힘이 주어져 팔꿈치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테니스를 많이 치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하여 테니스엘보라 이름이 붙여졌지만, 꼭 테니스를 치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손목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집안일을 하는 주부나 컴퓨터를 많이 하는 사람, 팔을 많이 쓰는 배드민턴 선수 등에도 많이 발병합니다. 테니스엘보는 손상 부위의 인대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고, 전완부의 근육이 주로 붙어있는 팔꿈치 바깥쪽 골두 부위의 인대에 염증이 생긴 증상을 말합니다.
2️⃣원인
✔️반복적인 사용
가장 흔한 원인은 반복적인 팔꿈치, 손목 사용입니다. 팔꿈치를 자주 구부리거나 손목을 비트는 동작을 반복할 때 팔꿈치 외측에 있는 근육과 힘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집니다. 특히 손목을 이용해 힘을 주는 동작이 많이 필요할 때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 힘줄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미세하게 손상되어 염증이 생깁니다.
✔️스포츠 활동
테니스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질환은 테니스를 치는 사람들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백핸드를 칠 때 팔꿈치에 큰 부담이 가며 손목을 비틀면서 팔꿈치 외측의 근육과 힘줄이 반복적으로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 외에도 골프, 배드민턴, 배구 등에서 팔꿈치와 손목을 자주 사용하는 스포츠 활동들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직업적 원인
건축업자, 타자기 작업, 사무직 종사자 등에서 팔꿈치와 손목을 지속해서 사용해야 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직업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힘줄의 퇴화
과도하게 사용된 힘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증이 생기거나 미세하게 찢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힘줄이 자연스럽게 약해지거나 퇴화하면서 더 쉽게 손상됩니다. 일반적으로 3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과도한 하중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무리한 힘을 주는 일상 활동 역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팔꿈치 주변의 근육과 힘줄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증상
✔️팔꿈치 외측 통증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팔꿈치 바깥쪽(외측 상과 부위)에서 느껴지는 통증입니다. 초기에는 미약한 통증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심해질 수 있습니다. 통증은 대부분 날카롭고, 둔하고, 쑤시는 느낌이 듭니다.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집중되며 손목을 사용하거나 팔꿈치를 움직일 때 더 심해집니다.
✔️팔꿈치, 손목 움직임 통증
팔꿈치를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 손목을 비틀거나 사용할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고, 손목을 펼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육 약화
물건을 쥐거나 팔꿈치를 사용하는 활동에서 힘이 빠지고 약해진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컵을 잡을 때 평소처럼 힘을 쥘 수 없거나 작은 물건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침에 통증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 통증이 가장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밤 동안 팔꿈치가 움직이지 않으면서 염증 부위가 긴장하거나 경직되어 아침에 일어나면 통증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점차 악화되는 증상
테니스엘보의 증상은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이나 불편함으로 시작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4️⃣진단
✔️병력 청취
어떤 운동이나 작업을 자주 했는지, 특정 스포츠 활동, 직업적 활동이 있는지, 팔꿈치의 통증, 손목의 강직, 손목이나 팔꿈치를 사용할 때 불편감 등을 확인합니다.
✔️신체검사
팔꿈치 부위를 직접 검사하여 진단합니다. Tennis Elbow Test, Maudsley Test, Middle Finger Test, 팔꿈치 외측 압박 검사 등이 있습니다.
✔️X-ray
뼈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테니스엘보는 주로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염증을 볼 수는 없지만 다른 뼈 질환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MRI
팔꿈치의 연부 조직(힘줄, 근육)을 자세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진단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힘줄의 미세한 손상이나 염증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힘줄의 퇴화나 파열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진단이 어려운 경우나 재발성 증상이 있을 경우 고려됩니다.
✔️초음파 검사
힘줄의 상태와 염증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MRI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있는 부위나 힘줄의 두께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치료
✔️휴식
기본적인 치료는 팔꿈치와 손목을 쉬게 하는 것입니다. 반복적인 사용을 피하고 증상이 심할 경우 활동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휴식을 통해 과도하게 자극된 힘줄이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냉찜질
염증과 부기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얼음을 직접 피부에 대지 말고 수건에 감싸서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염증을 줄여주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팔꿈치와 손목의 근육 강화와 스트레칭을 목표로 합니다. 힘줄의 회복을 촉진하고 팔꿈치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보조기 사용
팔꿈치에 부착하는 보조기나 압박 밴드를 사용하여 팔꿈치를 보호하고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주사 치료
비수술적 방법 중에서도 더 적극적인 치료법으로 염증을 완화하고 치유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PRP 주사 등이 있습니다.
✔️충격파 치료
고에너지 충격파를 팔꿈치 부위에 전달하여 힘줄의 회복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특히 만성 테니스엘보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운동법
▶손목 신전 스트레칭(Wrist Extensor Stretch)
전완 신전근을 늘려 팔꿈치 부하를 줄임
▶손목 굴곡 스트레칭(Wrist Flexor Stretch)
전완 굴곡근의 유연성 향상
▶이소메트릭 손목 확장 운동(Isometric Wrist Extension Exercise)
팔꿈치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힘줄 강화
▶전완 엎침 및 뒤침 운동(Forearm Pronation & Supination Exercise)
팔꿈치 회전 금육 강화, 안정성 높임
✨오늘은 테니스엘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