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공부

하지 근육 9-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장지신근

by 앵이__ 2025. 1. 14.

하지 근육 9-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장지신근

 

전경골근은 하퇴부의 중요한 근육으로 발목과 발목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목의 배굴과 발의 내전을 담당하며 걷기, 뛰기, 달리기 등 일상적인 활동에서 발의 움직임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전경골근/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1) 기시: 경골 외측과, 경골 몸통

    정지: 첫 번째 중족골 기저부, 내측 설상골

    기능: 발목관절의 배측굴곡, 내번

 

2) 전경골근의 기능

  • 발목 배굴: 주요 기능은 발목을 배굴하는 것입니다. 발목을 위로 당기는 움직임으로 걷거나 달릴 때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합니다. 발목 배굴은 발꿈치가 지면에서 떨어지고 발끝이 올라가는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 발 내전: 발의 내전을 유도합니다. 발목을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여 발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발목을 고정하고 발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발 아치 지원: 발의 내측 아치를 지탱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아치를 유지함으로써 발의 효율적인 충격 흡수와 보행 안정성을 돕습니다.

3) 임상적 중요성

▶전경골근의 약화나 손상은 발목과 다리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목 배굴의 제한과 발의 내전 기능 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약화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은 발목의 발목 굴곡 제약과 발목 염좌입니다. 특히 발목을 올리기 어려운 상태는 보행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전경골근염(Tibiais Anterior Tendinitis)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발목과 발가락 끝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운동선수나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전경골근의 기능이 저하되면 발목과 발이 불안정해져 발목염좌나 평발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걸을 때나 운동을 할 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장무지신근/긴엄지폄근/Extensor hallucis longus

장무지신근은 발의 엄지발가락을 펼치는 중요한 근육으로 발목과 발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발목의 배굴과 발의 엄지발가락의 신전을 담당합니다. 장무지신근은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걷기, 달리기, 점프 등에서 발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습니다.

 

1) 기시: 비골 앞쪽 표면, 골간막

    정지: 1번 발가락뼈의 등쪽 표면

    기능: 발목관절의 배측 굴곡, 내번

 

2) 장무지신근의 기능

  • 엄지발가락 신전: 주요 기능은 엄지발가락을 펼치는 것입니다. 발이 지면에서 벗어나거나 점프하는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행 시 발의 엄지발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게 합니다.
  • 발목 배굴: 발목을 배굴 시켜 위로 당깁니다. 발목을 위로 당기면 발가락이 들리며 걸을 때 발끝이 지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돕습니다.
  • 발 아치 지지: 발의 내측 아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발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3) 임상적 중요성

▶장무지신근의 약화나 손상은 발목과 발에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발목 배굴 제한, 엄지발가락 신전 어려움, 발목 불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약화되면 보행 시 발목이 고정되지 않거나 발끝이 바닥에 닿는 일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발목과 발가락의 불안정성은 보행에 영향을 미치며 발목 염좌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장무지신근염(Extensor hallucis Longus Tendinitis)은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져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발목과 발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걷거나 달리는 운동선수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목 염좌나 발목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장무지신근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겨 발목을 위로 당기거나 엄지발가락을 펼치는 동작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운동이나 보행 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장지신근/긴발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longus

장지신근은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으로 특히 발의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발가락의 신전을 담당합니다. 하퇴부의 전두부에 위치하고 발목 배굴에도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상적인 보행과 운동에서 발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지원하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경골의 외측 융기, 비골 몸통, 골간막

    정지: 2~5번 발가락뼈의 등쪽 표면의 지골

    기능: 발목관절의 배측 굴곡

 

2) 장지신근의 기능

  • 발가락 신전: 주요 기능은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발가락을 펴는 것입니다. 발가락의 중간 지골과 원위 지골에 부착되어 발가락을 위로 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발목 배굴: 발목을 배굴 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발목 배굴은 발끝을 위로 들어 올리게 하며 발목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발 아치 지원: 발의 내측 아치를 유지하는 데 일부 기여합니다. 아치의 안정성을 도와 발의 압력을 분산시키며 효율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임상적 중요성

▶장지신근의 약화나 손상은 발목과 발에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 배굴이나 발가락 신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약화로 인해 발가락 신전에 어려움을 겪거나 발목 배굴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걷거나 뛰는 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발목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 제한되면 발이 지면에 끌리게 되어 보행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지신근염(Extensor Digitorum Longus Tendinitis)은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발목이나 발가락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운동선수나 장시간 서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발목 염좌나 발목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기능이 저하되어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고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