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공부

하지 근육 6-내전근(치골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by 앵이__ 2025. 1. 8.

하지 근육 6-내전근(치골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치골근은 허벅지의 내측 근육 중 하나로 고관절을 안정시키고 다리의 움직임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관절의 굴곡, 내회전, 외회전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보행과 달리기, 일상적인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반 및 하체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1. 치골근/두덩근/Pectineus

 

1) 기시: 치골의 상치골지

    정지: 대퇴골의 근위부 1/4 조선

    기능: 엉덩관절의 내전, 내회전, 굴곡

 

2) 치골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 다리를 모으는 동작으로 다리 간격을 좁히는 움직임에서 활성화됩니다.
  • 고관절 굴곡: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데 관여합니다. 다리를 앞으로 올리는 동작에서 이 근육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관절 외회전: 고관절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다리의 회전 운동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 골반 안정화: 골반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의 움직임을 조정하면서 골반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걷기나 달리기에서 중요한 기능입니다.

2. 단내전근/짧은모음근/Adductor brevis

단내전근은 허벅지 내측에 위치한 근육으로 고관절 내전 및 다양한 하체 움직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내전근 군의 일부로 고관절 내전뿐만 아니라 굴곡과 외회전에도 관여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보행, 달리기, 점프 등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며 하체의 움직임을 조절핟고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치골의 치골 몸통

    정지: 대퇴골의 근위부 1/3 조선

    기능: 엉덩관절의 내전, 내회전, 굴곡

 

2. 단내전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 고관절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내전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 다리를 모으는 동작에서 활성화되며 걷기나 뛰기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고관절 굴곡: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데 일부 기여합니다. 다리를 앞으로 올리는 동작에 관여하며 엉덩이를 굽히는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관절 외회전: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외회전에도 일부 관여할 수 있습니다. 다리가 굴곡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활성화됩니다.
  • 골반 안정화: 고관절의 움직임을 안정시키고 골반을 고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나 골반이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3. 장내전근/긴모음근/Adductor longus

장내전근은 허벅지 내측에 위치한 주요 근육 중 하나로 고관절 내전, 굴곡, 외회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전근 군의 일부로 일상적인 활동과 운동에서 하체의 움직임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걷기, 달리기, 스포츠에서 자주 활용되는 근육입니다.

 

1) 기시: 치골의 치골능

    정지: 대퇴골의 조선

    기능: 엉덩관절의 내전, 내회전, 굴곡

 

2) 장내전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 고관절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내전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모으는 동작에서 활성화되며 걷기나 뛰기에서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 고관절 굴곡: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데 일부 기여합니다. 다리를 앞으로 올리는 동작에서 관여하며 엉덩이를 굽히는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관절 외회전: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외회전에 일부 관여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을 굴곡시키면서 다리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에서 활성화됩니다.
  • 골반 안정화: 고관절의 움직임을 안정시키고 골반을 고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나 골반이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도와주어 하체 움직임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4. 대내전근/큰모음근/Adductor Magnus

대내전근은 허벅지 내측 근육 중 가장 크고 강력한 근육으로 고관절 내전, 굴곡, 확장까지 다양한 움직임에 관여합니다. 내전근 군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로 대퇴부의 크기와 형태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고관절의 안정성 및 하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고관절 내전, 굴곡, 외회전 확장 등 여러 복합적인 움직임을 담당하므로 중요성이 상당히 높은 근육입니다.

 

1) 기시: 앞쪽 섬유-치골의 하치골지

             뒤쪽 섬유-좌골의 좌골 조면

    정지: 대퇴골의 조선, 내전근 결절

    기능: 엉덩관절의 내전, 내회전

             앞쪽 섬유-엉덩관절의 굴곡

             뒤쪽 섬유-엉덩관절의 신전

 

2) 대내전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 고관절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내전 동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모으는 동작에서 주로 활성화되며 걷기와 뛰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고관절 굴곡: 대내전근의 상부는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데 일부 기여합니다. 다리를 앞으로 올리는 동작에서 이 근육이 일부 활성화됩니다.
  • 고관절 확장: 대내전근의 하부는 고관절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뒤로 뻗는 동작에서 주로 활성화되며 달리기나 점프에서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 고관절 안정화: 고관절의 움직임을 안정시키고 골반을 고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반의 균형을 유지하고 하체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습니다.

5. 박근/두덩정강근/Gracilis

박근은 허벅지 내측에 위치한 얇고 긴 근육으로 허벅지 내전, 무릎 굴곡, 고관절의 회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전근 군의 일부로 주로 하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일상적인 동작과 스포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주요 근육들과 함께 하체를 효율적으로 움직이도록 돕습니다.

 

1) 기시: 치골의 하치골지

    정지: 경골의 내측과

    기능: 엉덩관절의 내전, 내회전, 굴곡, 무릎관절의 굴곡

 

2) 박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 고관절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내전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모으는 동작에서 활성화됩니다. 고관절을 내측으로 당길 때 다른 내전근들과 협력하여 무릎과 엉덩이의 안정성을 돕습니다.
  • 무릎 굴곡: 무릎을 굽히는 동작에 기여합니다. 걷기나 뛰기와 같은 일상적인 활동에서 무릎을 굽힐 때 활성화됩니다.
  • 고관절 회전: 고관절의 외회전에도 일부 관여할 수 있습니다. 다리를 앞으로 올리거나 외측으로 회전할 때 이 근육이 활성화되어 고관절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습니다.
  • 골반 안정화: 골반의 안정성에도 기여합니다. 특히 한 다리로 서는 동작이나 달리기와 같은 동작에서 골반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