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근육 5-햄스트링(대퇴이두근, 반막양근, 반건양근)
1. 대퇴이두근/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대퇴이두근은 허벅지 뒤쪽에 위치한 두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 근육군으로 고관절과 무릎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햄스트링의 주요 구성 요소로 다리의 신전, 굴곡, 회전 운동을 담당합니다. 대퇴부의 뒤쪽에서부터 종아리로 이어지는 중요한 근육군으로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일상 활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좌골의 좌골 조면
정지: 비골의 비골두
기능: 엉덩관절의 신전, 무릎관절의 굴곡, 경골의 외회전
2) 대퇴이두근의 기능
- 고관절 굴곡: 대퇴이두근의 긴 근은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작, 달리기나 걷기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지원합니다.
- 무릎 굴곡: 달리기, 걷기, 앉기 등의 동작에서 무릎을 굽히는 데 필수적으로 작용합니다.
- 무릎의 외회전: 무릎이 구부러졌을 때 외회전 운동에도 기여합니다. 다리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무릎을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고관절의 신전: 무릎을 펴면서 고관절을 펴는 동작에서 활발하게 작용합니다.
- 골반 안정화: 고관절과 무릎의 운동을 조절하면서 골반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보행 시 골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3) 대퇴이두근 강화 운동
레그 컬(Leg curl): 대퇴이두근을 집중적으로 자극하는 운동입니다. 무릎을 굽히는 동작을 통해 대퇴이두근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데드리프트(Deadlift): 햄스트링을 포함한 하체 근육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운동으로 고관절의 신전과 무릎의 굴곡 동작을 동시에 자극합니다.
스쿼트(Squat): 하체의 주요 근육을 모두 강화하는 운동으로 대퇴이두근을 포함한 햄스트링 근육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반막양근/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
반막양근은 햄스트링을 구성하는 주요 근육 중 하나로 허벅지 뒤쪽에 위치해 고관절과 무릎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퇴이두근과 반건양근과 함께 햄스트링을 구성하며 고관절의 신전, 무릎의 굴곡, 골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좌골의 좌골 조면
정지: 경골의 내측과
기능: 엉덩관절의 신전, 무릎관절의 굴곡
2) 반막양근의 기능
- 고관절 신전: 걷거나 달릴 때 다리를 뒤로 뻗는 동작에서 이 근육이 활성화됩니다.
- 무릎 굴곡: 다리를 구부리는 동작에서 활성화되어 달리기나 걷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내회전: 무릎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반막양근은 고관절의 내회전에도 기여합니다. 다리가 구부러지면 이 근육은 고관절을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 골반 안정화: 골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들거나 구부릴 때 골반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보행이나 달리기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3. 반건양근/반힘줄근/Semitendinosus
반건양근은 햄스트링을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근육 중 하나로 허벅지 뒤쪽에 위치하여 고관절과 무릎의 중요한 움직임을 지원합니다. 하체의 주요 운동을 담당하며 무릎 굴곡, 고관절 신전, 골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좌골의 좌골 조면
정지: 경골의 내측과
기능: 엉덩관절의 신전, 무릎관절의 굴곡, 경골의 내회전
2) 반건양근의 기능
- 고관절 신전: 다리를 뒤로 뻗는 동작에서 활성화되며 걷기, 달리기, 점프와 같은 동작에서 고관절 신전을 지원합니다.
- 무릎 굴곡: 무릎을 굽히는 주요 근육으로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서 활성화됩니다. 일상적인 걷기나 뛰기에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 내회전: 무릎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고관절을 내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리가 구부러지면 고관절을 안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 골반 안정화: 골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나 골반이 들려 있을 때 골반을 균형 있게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보행과 달리기에서 중요한 기능입니다.
햄스트링은 고관절 신전, 무릎 굴곡, 골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군입니다. 햄스트링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은 하체 운동의 성능을 높이고 부상 예방에도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걷기, 뛰기, 점프 등 일상적인 활동에서 큰 역할을 하므로 이를 강화하고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이 전반적인 운동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햄스트링을 튼튼하게 만드는 운동은 하체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고 다른 운동 수행 시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부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 근육 7-슬와근, 비복근, 가자미근 (0) | 2025.01.12 |
---|---|
하지 근육 6-내전근(치골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1) | 2025.01.08 |
하지 근육 4-심부 외회전근(이상근, 상쌍자근,하쌍자근,내폐쇄근,외폐쇄근,대퇴방형근) (3) | 2025.01.06 |
하지 근육(3)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0) | 2025.01.05 |
하지 근육(2) 봉공근, 대퇴사두근(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 (2)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