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공부

몸통 근육(1) 흉쇄유돌근, 사각근, 두판상근, 경판상근

by 앵이__ 2024. 12. 31.

 

1️⃣흉쇄유돌근/목빗근/Sternocledomastoid(SCM)

흉쇄유돌근은 목의 앞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머리와 목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개를 돌리거나 목을 굽히거나 고개를 젖히는 다양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몸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흉골 병의 흉골절흔, 쇄골 내측

    정지: 유양돌기

    기능: 목의 굴곡, 측면 굴곡, 환측성 회전, 늑골의 상승

    신경 분포: 더부신경(제 11뇌신경)

 

2) 흉쇄유돌근의 주요 기능

  • 목의 회전: 목을 돌리는 주요 근육 중 하나입니다. 한쪽 흉쇄유돌근이 수축하면 머리가 반대쪽으로 회전합니다. 머리를 돌려서 주위를 살펴보거나 고개를 돌리는 데 사용됩니다.
  • 목의 굽힘: 양쪽 흉쇄유돌근이 수축하면 머리가 앞으로 굽히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목을 아래로 내리거나 고개를 숙이는 데 필요합니다.
  • 목의 기울이기: 머리를 옆으로 기울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일상적인 움직임을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목과 머리의 안정화: 머리와 목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시간 앉아 있을 때나 서 있을 때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운동법

▶상향 회전 운동(Neck Flexion with Resistance)

흉쇄유돌근 강화, 목의 안정성 증가, 자세 개선

▶목 회전 운동(Neck Rotation Exercise)

흉쇄유돌근 강화, 목 회전 범위 증가, 목 통증 예방

▶목 앞뒤 움직임 운동(Neck Flexion and Extension)

목 근육 강화, 목의 유연성 향상

 

2️⃣사각근/목갈비근/Scalene

사각근은 목의 측면에 위치한 근육으로 목을 움직이거나 호흡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목의 기울임, 회전, 호흡에 참여하는 근육들이며 기본적인 움직임과 호흡에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어깨나 팔꿈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근막 통증 증후군과 연관되기도 합니다.

 

1) 기시: 경추 2번~7번 횡돌기

    정지: 늑골 1번~2번 위쪽, 바깥쪽 표면

    기능: 목의 굴곡, 측면굴곡, 동측성 회전, 늑골의 상승

    신경 분포: 목 척수 신경(C6~C8)

 

2) 사각근의 주요 기능

  • 목의 기울이기와 회전: 한쪽 사각근이 수축하면 목을 옆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합니다. 양쪽 근육이 서로 협력하여 목을 회전시킵니다. 머리를 돌려 주위를 살펴보거나 특정 방향으로 얼굴을 돌릴 때 사용됩니다.
  • 호흡 보조: 상갈비근과 중갈비근은 첫 번째 갈비뼈를 들어 올려 흉곽을 확장해 흡기에 기여합니다. 하갈비근은 두 번째 갈비뼈를 들어 올려 흉곽을 넓히는 데 기여하며 깊은 호흡 시 중요한 보조 근육으로 작용합니다.
  • 상체 안정화: 상체를 기울이거나 회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운동법

▶목갈비근 스트레칭(Scalene Stretch)

목과 어깨의 긴장 완화, 유연성 증가

▶어깨 돌리기(Shoulder Rolls)

사각근과 어깨의 긴장 완화, 자세 개선

▶코어 강화 운동(Core Strengthening Exercise)

사각근과 코어 근육 강화, 전체적인 자세 개선

 

3️⃣두판상근/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두판상근은 목의 후두부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으로 머리와 목의 회전, 기울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체의 유연성뿐만 아니라 목 통증 예방에도 중요한 기능을 하며 일상적인 움직임을 할 때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기시: 항인대 근위 1/2, 경추 7번~흉추 3번 극돌기

    정지: 유양돌기

    기능: 목의 신전, 측면 굴곡, 동측성 회전

    신경 분포: 목 척수 신경(C2~C3, C5~C8)

 

2) 두판상근의 주요 기능

  • 머리의 회전: 한쪽 두판상근이 수축하면 머리를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합니다.
  • 목의 기울임: 양쪽 두판상근이 동시에 작용하면 목을 한쪽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합니다.
  • 목과 머리의 확장: 양쪽 두판상근이 동시에 수축할 경우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합니다. 이를 통해 목과 머리를 위로 확장하며 머리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 목의 안정성 제공: 척추의 중립 위치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일상적인 움직임에서 목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합니다.

💪🏻운동법

▶목 기울이기 운동(Neck Lateral Flexion)

두판상근 이완, 목의 유연성 향상

▶고양이 소 자세(Cat-Cow Stretch)

두판상근 이완, 척추 유연성 향상

▶어깨 롤(Shoulder Rolls)

두판상근을 포함한 어깨 근육 이완, 목 통증 완화

 

4️⃣경판상근/목널판근/Splenius cervicis

경판상근은 목의 뒤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목의 회전, 기울임,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판상근과 함께 목 부위의 근육군을 형성하고 상체의 움직임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1) 기시: 흉추 3번~6번 극돌기

    정지: 경추 1번~2번 횡돌기

    기능: 목의 신전, 측면 굴곡, 동측성 회전

    신경 분포: 목 척수 신경(C2~C3, C5~C8)

 

2) 경판상근의 주요 기능

  • 목의 회전: 한쪽이 수축할 때 목을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고개를 돌리거나 다른 방향으로 시선을 돌릴 때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목의 기울임: 양쪽이 함께 작용할 때 목을 옆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합니다. 물건을 들 때 어깨로 물건을 밀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목의 확장: 양쪽이 동시에 수축하면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합니다. 고개를 뒤로 젖힐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머리를 들어 올릴 때도 활성화됩니다.
  • 목의 안정성 유지: 목의 정렬을 유지하고 척추의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운동법

▶목 회전 운동(Neck Rotation Exercise)

경판상근을 포함한 주변 근육 강화, 목 회전 범위 향상

▶상체 비틀기(Upper Body Twist)

경판상근 및 척추 회전 범위 향상, 유연성 증가

▶저항 운동(Resistance Neck Exercise)

경판상근 강화, 목 통증 예방

 

 

✨오늘은 몸통 근육 중 흉쇄유돌근, 사각근, 두판상근, 경판상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2024.12.30 - [해부학 공부] - 상지 근육(6) 상완 이두근, 상완근, 상완 삼두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