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흉근/큰가슴근/Pectoralis major
대흉근은 상체 근육 중에서 큰 근육 중 하나입니다. 가슴의 형태를 형성하며 팔꿈치와 어깨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흉근은 운동과 일상생활에서 팔꿈치를 밀거나 내리는 동작을 담당하며 가슴과 상체를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쇄골두-쇄골 내측 1/2
흉골두-흉골, 늑연골 1번~6번
정지: 상완골의 이두근 구 외측 순연
기능: 어깨관절의 내전, 내회전, 수평 내전
쇄골두-어깨관절의 굴곡
흉골두-어깨관절의 신전
신경분포: 외측 흉신경(C5~C7), 내측 흉신경(C8,T1)
2) 대흉근의 주요 기능
- 팔의 내전: 팔을 몸의 정중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상완골이 벌어졌을 때 다시 몸 쪽으로 당기는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팔의 내회전: 위팔뼈를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손바닥을 몸 쪽으로 향하게 하는 동작이 가능해집니다.
- 팔의 굴곡: 쇄골두는 팔을 위쪽으로 올리는 데 기여합니다. 팔이 뒤쪽으로 향했을 때 다시 앞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 팔의 신전: 흉골두는 팔이 높이 올라가 있을 때 아래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 호흡 보조: 강한 호흡을 할 때 보조 호흡근으로 작용하여 호흡 시 가슴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운동법
▶벤치 프레스(Bench Press)
가슴, 어깨, 삼두근 강화
▶푸시업(Push-up)
가슴, 어깨, 삼두근, 코어 강화
▶덤벨 플라이(Dumbbell Fly)
가슴 안쪽, 어깨 강화
2️⃣광배근/넓은 등근/Latissimus dorsi
광배근은 등 근육 중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근육으로 상체의 힘과 안정성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와 어깨의 다양한 움직임을 조절하며 특히 팔꿈치를 당기거나 내리는 동작에서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등과 어깨 라인의 모양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동 및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1) 기시: 천골 후면, 장골능 뒤쪽, 흉요근막, 흉추 7번~요추 5번 극돌기, 늑골 11번, 견갑골의 하각
정지: 상완골의 결절 사이 고랑
기능: 어깨관절의 신전, 내전, 내회전
신경분포: 흉배신경(C6~C8)
2) 광배근의 주요 기능
- 팔의 내전: 팔을 몸의 중앙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팔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팔꿈치를 몸 쪽으로 당길 때 활성화됩니다.
- 팔의 신전: 팔꿈치를 몸 뒤쪽으로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가 위로 올라간 후 아래로 내릴 때 광배근이 활성화됩니다.
- 팔의 내회전: 팔꿈치를 몸 쪽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가 몸 밖에 있을 때 몸 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관여합니다.
- 상체의 회전: 상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통의 안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몸의 회전시키거나 비틀 때 광배근이 함께 작용합니다.
- 호흡 보조: 깊은 호흡 시 광배근은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격렬한 운동 중에는 흉곽을 확장시켜 공기 흡입을 돕습니다.
💪🏻운동법
▶풀업(Pull-up)
광배근, 이두근, 어깨 후면 강화
▶랫 풀다운(Lat Pulldown)
광배근, 이두근, 어깨 후면 강화
▶레버 로우(Lever Row)
광배근, 등 근육 강화
3️⃣대원근/큰원근/Teres major
대원근은 어깨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어깨 관절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팔꿈치와 어깨의 다양한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며 팔꿈치를 내리는 동작과 어깨의 회전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1) 기시: 견갑골의 하각
정지: 상완골의 결절 사이 고랑
기능: 어깨관절의 신전, 내전, 내회전
신경분포: 견갑하신경(C5~C6)
2) 대원근의 주요 기능
- 어깨 신전: 팔꿈치를 몸 뒤로 당기는 동작에서 대원근이 작용합니다. 팔꿈치를 뒤로 당기거나 내려서 상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활성화됩니다.
- 어깨 내전: 팔꿈치를 몸의 중앙으로 끌어당기는 동작에서도 대원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를 옆으로 벌린 후 몸의 중심으로 당길 때 활성화됩니다.
- 어깨 내회전: 팔꿈치를 몸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대원근이 작용합니다. 팔꿈치를 회전시켜 팔꿈치를 내측으로 돌릴 때 대원근이 활성화됩니다.
- 어깨 안정화: 어깨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어깨 근육들과 협력하여 어깨 관절의 범위와 움직임을 유지합니다. 팔꿈치와 어깨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는 데 기여합니다.
💪🏻운동법
▶풀오버 (Pull-Over)
대원근, 광배근, 가슴 강화
▶덤벨 로우(Dumbbell Row)
대원근, 광배근, 이두근 강화
▶케이블 로우(Cable Row))
대원근, 광배근, 등 근육 강화
✨오늘은 상지 근육 중 대흉근과 광배근과 대원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2024.12.28 - [해부학 공부] - 상지 근육(4) 오훼완근, 전면 삼각근, 측면 삼각근, 후면 삼각근
'해부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통 근육(1) 흉쇄유돌근, 사각근, 두판상근, 경판상근 (5) | 2024.12.31 |
---|---|
상지 근육(6) 상완 이두근, 상완근, 상완 삼두근 (2) | 2024.12.30 |
상지 근육(4) 오훼완근, 전면 삼각근, 측면 삼각근, 후면 삼각근 (7) | 2024.12.28 |
상지 근육(3)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1) | 2024.12.26 |
상지 근육(2) 견갑거근, 능형근, 소흉근 (2)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