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극상근/가시위근/Supraspinatus
극상근은 어깨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4개의 근육 중 하나로 어깨의 움직임과 안정성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깨뼈와 상완골을 연결하고 팔꿈치와 손목의 동작을 돕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근육입니다.
1) 기시: 견갑골의 극상와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
기능: 견관절의 초기 외전
신경 분포: 견갑상신경(C5~C6)
2) 극상근의 주요 기능
- 어깨 외전 시작: 팔을 몸에서 들어 올리는 동작의 초기 15도 정도를 담당합니다. 이후에는 삼각근이 주된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어깨 관절 안정화: 회전근개 근육 중 하나로 어깨 관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팔을 들어 올릴 때 상완골이 관절에서 빠지지 않도록 잡아줍니다.
- 어깨 관절 충돌 방지: 극상극이 약해지거나 손상되면 상완골두가 견봉과 부딪혀 어깨 충돌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에서 적절한 움직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운동법
▶덤벨 스캡션(Dumbbell Scaption)
극상근 강화, 어깨 외전 능력 향상
▶숄더 익스터널 로테이션(Shoulder External Rotation)
극상근과 회전근개 강화, 어깨 안정화
▶사이드-라잉 레터럴 레이즈(Side-Lying Lateral Raise)
극상극 활성화에 가장 좋은 운동, 재활 및 예방에 효과적
2️⃣극하근/가시아래근/Infraspinatus
극하근은 어깨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4개의 근육 중 하나로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회전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깨의 외회전과 회전근개 기능을 지원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며 팔꿈치와 어깨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돕는 근육입니다.
1) 기시: 견갑골의 극하와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
기능: 견관절의 외회전
신경 분포: 견갑상신경(C5~C6)
2) 극하근의 주요 기능
- 어깨 외회전: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주요 근육입니다. 팔꿈치를 몸 바깥으로 돌리거나 팔꿈치와 같은 선상에서 돌리는 동작에 활성화됩니다.
- 어깨 관절 안정화: 어깨 관절이 탈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팔을 올리거나 돌릴 때 상완골이 관절 안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유지하니다.
- 견갑골-상완골 리듬 조절: 어깨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극상근, 소원근과 함께 협력합니다. 어깨 관절에서 위팔뼈가 과도하게 올라가 견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운동법
▶밴드 또는 덤벨을 이용한 어깨 외회전(External Rotation with Band/Dumbbell)
극하근 강화, 외회전 근력 증가
▶T자 레이즈(T-Raise with Band/Dumbbell)
극하근 강화, 어깨 안정성 강화, 회전근개 보호
▶케이블 리버스 플라이(Cable Reverse Fly)
극하근 강화, 소원근과 후면 삼각근 강화
3️⃣소원근/작은원근/Teres Minor
소원근은 어깨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4개의 근육 중 하나로 어깨의 안정성과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어깨의 외회전, 안정화, 회전근개 기능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팔꿈치와 손목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는 근육입니다.
1) 기시: 견갑골의 외측연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
기능: 견관절의 외회전
신경 분포: 액와신경(C5~C6)
2) 소원근의 주요 기능
- 어깨 외회전: 외회전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중 하나입니다. 팔꿈치를 몸 바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소원근이 활성화됩니다.
- 어깨 안정화: 어깨 회전근개의 다른 근육과 협력하여 어깨뼈의 안정성을 유지,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팔꿈치를 몸쪽으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는 동작에서 어깨의 안정성을 돕는다.
- 팔꿈치와 손목의 효율적인 움직임: 상완골과 어깨뼈가 잘 연결되면 팔꿈치와 손목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팔꿈치를 옆으로 올리거나 뒤로 당길 때 소원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어깨 유연성 향상: 외회전을 돕는 동시에 어깨 관절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합니다.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어깨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운동법
▶덤벨 외회전 운동(Dumbbell External Rotation)
소원근 강화, 외회전 근력 증가
▶플랭크 변형 운동(Plank Variations)
회전근개 강화, 어깨 안정성 강화
▶페이스풀(Face Pull)
소원근 강화, 어깨 후면 근육 강화, 어깨 불균형 개선
4️⃣견갑하근/어깨밑근/Subscapularis
견갑하근은 어깨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4개의 근육 중 하나로 어깨의 안정성과 회전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깨의 내회전, 상체 안정화, 어깨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1) 기시: 견갑골의 견갑하와
정지: 상완골의 소결절
기능: 견관절의 내회전
신경 분포: 상 하 견갑하신경(C5~C6)
2) 견갑하근의 중요 기능
- 어깨 내회전: 내회전은 팔꿈치가 몸의 중앙선 쪽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말합니다. 팔꿈치를 몸쪽으로 돌리거나, 당기는 동작에서 견갑하근이 활성화됩니다.
- 어깨 안정화: 어깨 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과도하게 회전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팔꿈치와 손목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돕습니다. 팔꿈치를 올리거나 같은 선상에서 돌릴 때 어깨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 어깨 회전: 상체 회전 동작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와 손목이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팔꿈치를 몸쪽으로 당기거나 바깥쪽으로 돌리는 동작에서 어깨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 어깨 유연성 향상: 내회전 기능을 통해 어깨 관절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합니다. 팔꿈치를 회전시키거나 몸쪽으로 당기는 동작에서 어깨의 유연성이 향상됩니다.
💪🏻운동법
▶덥벨 내회전 운동(Dumbbell internal Rotation)
견갑하근 강화, 어깨 내회전 근력 증가
▶프론트 플랭크 플러스(Front Plank Plus)
회전근개 전체 안정성 향상, 재활 운동에 적합
▶벽 밀기 운동(Wall Push Exercise))
견갑하근 활성화, 초보자 및 재활에 적합
5️⃣회전근개/Rotator Cuff/SSIT muscle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고 다양한 팔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어깨의 복잡한 움직임을 지원하고 어깨 통증과 부상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어깨 회전, 안정화, 유연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 근육들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어깨는 다양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완골과 견갑골을 연결해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상지 근육 중 회전근개 근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 드립니다 :)
'해부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지 근육(6) 상완 이두근, 상완근, 상완 삼두근 (2) | 2024.12.30 |
---|---|
상지 근육(5)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2) | 2024.12.28 |
상지 근육(4) 오훼완근, 전면 삼각근, 측면 삼각근, 후면 삼각근 (6) | 2024.12.28 |
상지 근육(2) 견갑거근, 능형근, 소흉근 (0) | 2024.12.25 |
상지 근육(1) 승모근, 전거근 (2) | 2024.12.24 |